이전에 Vercel로 배포했던 사이트에 커스텀 도메인을 추가하고 싶어서 가비아에서 도메인을 구매하고 Vercel에 연결해 보았다! 이 과정을 정리해 본다.
1. 가비아에서 원하는 도메인 구매
원하는 도메인을 검색하고 구매한다. 가끔 몇 개는 크게 할인하는 경우가 있어서 할인할 때를 노리면 좋다ㅎㅎ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2. Vercel 설정에서 도메인 추가
Project Settings - Domains에서 구매한 도메인을 입력해 준다.
추천 옵션으로 설정하고 도메인을 추가한다. 해당 옵션을 사용하면, domain.com 접속 시 www.domain.com으로 리다이렉트 된다.
3. 가비아 도메인에 레코드 추가
도메인을 등록하면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한다. (이미 도메인 연결을 완료한 후 글을 작성하여 도메인을 임의로 입력했다.)
위 A Record와 CNAME을 가비아 레코드에 등록해 주어야 한다.
My 가비아 - DNS 관리툴 - DNS 설정에 접속하여 레코드를 추가한다.
각 타입과 호스트, 값을 입력하여 저장한다.
오류 해결
저장 후 도메인이 반영되기까지는 30분 이상 걸린다고 해서 기다렸는데.. Vercel 도메인 페이지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계속 뜨고, 도메인 접속 시에도 404 DEPLOYMENT NOT FOUND가 떴다.
Your Domain isn't assigned to a Deployment anymore, as the underlying Alias was manually removed by running vercel alias rm with our command-line interface or using our API.
도메인의 refresh 버튼을 계속 눌러봐도 해결되지 않았고, edit 버튼을 누르고 아무 변경 없이 다시 저장하니 해결이 되었다..
도메인이 연결되면 이런 식으로 바뀐다! 해당 도메인으로 접속이 가능해진다.
이전까지는 프로젝트의 도메인 구매와 설정을 다른 팀원들이 맡았는데, 이번에 처음으로 직접 해보니까 신기하고 재밌는 경험이었다ㅎ 무엇보다 vercel 키워드가 포함된.. Vercel에서 제공하는 도메인 대신 커스텀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어서 좋다!!
'Devel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론트엔드 성능 최적화하기 - 1 (0) | 2025.02.04 |
---|---|
[Webpack] Bundle 사이즈 줄이기 (0) | 2024.05.02 |
[Husky] Git Hooks 설정을 통한 커밋 전 코드 포맷팅 자동 적용하기 (Lint-Staged) (0) | 2024.01.18 |